컨텐츠 내용
- 수강신청
- 과정정보

과정소개
➤ 소규모업소 HACCP 인증 과정 교육 안내
• HACCP 이란?
「식품위생법」 및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에 따른 식품안전관리인증기준」과 「축산물 위생관리법」에 따른 「축산물안전관리인증기준」 으로서, 식품(건강기능식 품을 포함한다. 이하 같다). 축산물의 원료 관리, 제조.가공.조리. 선별 처리. 포장 소분보관. 유통·판매의 모든 과정에서 위해한 물질이 식품 또는 축산물에 섞이거나 식품 또는 축산 물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 과정의 위해요소를 확인 평가하여 중점적으 로 관리하는 기준을 말한다(이하 "안전관리인증기준(HACCP)" 이라 한다).
업체에서 사용하는 모든 원·부재료와 각 제조공정별로 발생 가능한 위해요소를 분석하고 관리 계획에 따라 사전 예방하는 것
■선행요건(Hard Ware)
1.영업장 관리
2.위생관리
3.제조ㆍ가공 시설ㆍ설비 관리
4.냉장ㆍ냉동시설ㆍ설비 관리
5.용수관리
6.보관ㆍ운송관리
7.검사 관리
8.회수 프로그램 관리
■ 본 강의 소규모업소 HACCP 인증 과정의 특징
1. 교육 대상
1) 소규모업소 HACCP 인증 취득을 준비하시는 분
2) 소규모업소 HACCP 인증 후 사후관리를 준비하시는 분
3) 소규모업소 HACCP 인증을 지도하실 컨설턴트
4) 기타 HACCP의 이해와 식품안전관리에 관심이 있으신 분
2. 교육 과정
1) 소규모업소 식품 HACCP 인증을 취득할 수 있도록 구성
2) 선행요건은 식품 일반 HACCP을 포함
3) 축산물 HACCP 의무적용과 축산물 법규 등 포함
4) 과정 수료 후 관련자료 참고시 일반 HACCP 인증준비 가능
■ 본 강의 소규모업소 HACCP 인증 과정의 기대효과
1) 소규모업소 HACCP 인증 취득을 준비하시는 분
- HACCP의 이해와 HACCP 인증을 위한 Process 확인
- HACCP과 관련된 법규사항 인지
- HACCP 인증 준비를 위한 절차 확인
- 소규모 HACCP 인증을 취득하기 위한 HACCP 시스템 구축
- 소규모 HACCP 인증 후 사후관리 준비 확인
- 관련자료를 참고하여 일반 HACCP 인증준비 가능
2) 소규모업소 HACCP 인증 후 사후관리를 준비하시는 분
- HACCP의 이해와 HACCP 인증 Process 재확인
- HACCP 7원칙12절차 재확인
- 검증을 통한 HACCP 시스템 구축 개정
- 관련자료를 참고하여 일반 HACCP 인증준비 가능
3) 소규모업소 HACCP 인증을 지도하실 컨설턴트
- HACCP의 이해와 HACCP 인증을 위한 Process 확인
- HACCP과 관련된 법규사항 인지
- HACCP 인증 준비를 위한 절차 확인
- 소규모 HACCP 인증을 취득하기 위한 HACCP 시스템 구축 지도
- 소규모 HACCP 인증 후 사후관리 준비 지도
- 관련자료를 참고하여 일반 HACCP 인증 지도
4) 기타 HACCP의 이해와 식품안전관리에 관심이 있으신 분
- HACCP의 이해와 HACCP 인증을 위한 Process 인지
- HACCP과 관련된 법규사항 인지
- HACCP 인증 준비를 위한 절차 이해
- 소규모 HACCP 인증을 취득하기 위한 HACCP 시스템 구축 이해
- 소규모 HACCP 인증 후 사후관리 준비 이해
학습목표
교육대상
수료기준
평가기준 | 진도율 | 총점 |
---|---|---|
반영비율 | 100% | 100점 |
이수(과락)기준 | 80% | 60점 |
강사소개
- 강사명
- 방인수
- 강사약력
박사/식품기술사
한국식품기술원 대표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 외부강사
경기 현장코칭 전문위원
충남 현장코칭 전문위원
유기가공식품 인증 심사위원
컨설턴트(HACCP, 1SO 22000, FSSC 22000, 전통식품인증, 유기가공식품인증,
KS 인증)
ISO 22000 심사위원
(전) 안산대학교 겸임교수
(전) 충남 농촌융복합산업 활성화 자문위원
(전) 한국산업인력공단 ‘식품기술사’출제 및 면접위원
(전) 청년식품창업 창업멘토 (한국식품산업클러스터진흥원)
(전) HACCP 민간지원단 위원(서울 식약청)
(전) NCS 기업활용 컨설팅 전문가
(전) 식품가공분야 NCS개발 총괄책임자
(전) 식품가공분야 NCS 학습모듈 총괄책임자
(전) ISO TC 34(식품) 분과위원회 전문위원(한국식품연구원)
(전) 대한민국산업현장 교수(식품가공)
(전)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평가위원
(전) (사)한국식품안전협회 전문위원
(전) (사)한국식품기술사협회 부회장
(전) 한국식품정보원 HACCP 강사
(전) 혁신경영연구원(주) 컨설팅 본부
(전) 해태음료주식회사 식품연구소
■ 학위 논문
박사 : 청일뽕(Morus alba L.) 오디의 이화학적 특성과 생리활성
석사 : 뽕잎추출액을 첨가한 발효유의 조제 및 품질특성에 관한 연구
석사 : 음료산업의 품질보증 System에 관한 실증적 고찰 : A 음료회사를 중심으로
■ 저서
- 최신 식품기술사, 석학당
- 식품안전관리, 서울교과서
- 식품제조설비, 서울교과서
- 알기쉬운 식품가공 실무 Ⅰ, 한국표준협회
- 알기쉬운 식품가공 실무 Ⅱ, 한국표준협회
- 식품위생관계법규, (주)지구문화
■ 외부 강의
- 식품가공의 이해, 하동군 농업기술센터
- HACCP의 현황과 정책방향, 충남농업기술원
- 식품기술사 취득과정, 한국식품기술사협회
- 식품생산관리사 과정, 한국식품마이스터고
- 식품가공 설비, 포천시 농업기술센터
- 식품위생 및 안전, 인제군 농업기술센터
- 식품제조업 창업절차, 양주시 농업기술센터
- 약용자원 제품개발(추출, 농축), 경북전문대학교
- 음료가공 및 실습, 칠곡군 농업기술센터
- 식품가공의 이해와 HACCP, 농촌진흥청
- 음료 가공기술 및 설비 이해, 청송군 농업기술센터
- 농산물 가공센터 구축 및 활용, 경남농업기술원
- 식품가공의 이해와 법규, 예산군 농업기술센터
- 착즙액 이론 및 실습, 홍천군 농업기술센터
- 식품가공의 이해, 태안군 농업기술센터
- 식품산업 기계설비, 이리고등학교
- 식품제조업 창업절차, 밀양시 농업기술센터
- 식품위생, 강원대학교
- 공중보건학, 환경위생, 수원대학교
- HACCP 팀장과정, 전남생물산업진흥원
- 음료가공, 경북전문대학교
- 식품제조창업절차, 창녕군 농업기술센터
- 농산물가공센터 설계방법, 여주시 농업기술센터
- 식품가공의 이해와 HACCP, 바이오폴리텍대학교
- 식품가공의 이해와 음료가공, 남양주시 농업기술센터
- 관능검사, 웅진식품주식회사
- HACCP 팀장과정, 전북대학교
- 식품가공의 이해와 HACCP, 김포시 농업기술센터
- 식품가공 기초과정, 양평군 농업기술센터
- 식품포장, 장수군 농업기술센터
- 식품가공 기초과정, 옥천군 농업기술센터
- 식품가공 및 식품위생, 제천시 농업기술센터
- 추출 및 농축, 이천시 농업기술센터
- 제조가공업의 시설기준, 금산군 농업기술센터
- 소규모 가공창업절차, 양양군 농업기술센터
- 농산물품질관리사, 논산시 농업기술센터
- HACCP 팀장과정, 한국식품산업협회
- HACCP 팀장과정, FDX 안전관리인증교육원
- HACCP 팀장과정, 한국식품정보원
- 식품관련법규 및 표시기준, 한국임업진흥원
■ 학술 논문
- 오디 분말차 급여가 일부 충남지역에 거주하는 중년 남ㆍ녀의 혈청 지질 및 심혈관계 인자에 미친 영향,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누에 분말을 이용한 젤리의 이화학적 특성 및 관능 평가,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오디추출물 급여가 충남 일부지역에 거주하는 중년 남, 녀의 혈청 무기질 수준 및 항산화 관련 인자에 미친 영향, 한국식품과학회지
- 오디에서 열처리와 자외선 조사가 Anthocyanin-Polyphenol Copigment Complex의 안전성에 미치는 효과 , 한국약용작물학회
- 청국장의 생리활성과 산업적 적용, 한국식품과학회
- 뽕잎 첨가수준에 따른 두부의 관능평가 및 일반성분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 뽕잎을 이용한 젤리제조 및 품질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조리과학회
- 음료용기로서의 Can의 장단점, 한국포장협회
- 뽕잎추출액을 첨가한 발효유의 이화학적 특성,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동충하초 분말을 첨가하여 제조한 젤리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오디 분말을 이용한 젤리 제조 및 이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연구 과제
- 한산모시ㆍ소곡주 연구소 건립계획, 한산소곡주명품화사업단
- 농산물가공센터 구축, 양양군농업기술센터
- 가공제품개발 연구용역, 아산농업기술센터
- 제품개발 및 표준화 컨설팅 용역, 금산농업기술센터
- 먹골배 가공표준화, 남양주시 농업기술센터
- 소규모 마을 사업화, 오곡백과
- 집단급식소 식품판매영업자 업무지침,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 학교급식 지도점검, 업무지침,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 NCS에 따른 교과모형 개발을 위한 교육과정 분석 및 활용, 한국식품기술사협회
■ 특허
- 뽕잎차 조성물의 제조방법, 출원번호:10-2002-0081260
- 실크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기능성 음료의 제조방법, 출원번호:10-2000-0010464
- 양잠산물과 허브가 첨가된 기능성 강화 다식의 제조방법, 출원번호:10-2001-0015041
- 육류분말과 허브를 이용한 기능성 다식의 제조방법, 출원번호:10-2001-0017741
- 젓갈분말과 젓갈분말에 젓갈향을 첨가한 조미김 및 그제조방법,
출원번호:10-2005-0049079
- 새우맛 조미김 제조방법, 출원번호:10-2001-0076807
- 김치맛 조미김 제조방법, 출원번호:10-2001-0005759
- 양잠산물을 이용한 조미김 제조방법, 출원번호:10-2001-0077683
- 기능성 성분이 강화된 뽕잎강정의 제조방법, 출원번호:10-1999-0048213
- 오디 추출액을 이용한 오디음료 제조방법, 출원번호:10-1999-0008127
- 오디추출액을 이용한 농후발효유의 제조방법, 출원번호:10-1999-0055197
- 오디추출액을 이용한 탄산음료 제조방법, 출원번호:10-1999-0018106
■ HACCP 컨설팅
한국담배인삼공사, 고려인삼연구, 세종바이오팜, 구좌농협, 삼화양조장, 꿈에서본들, 한국흑홍삼, 천하푸드, 달기농장, 한도라지, 백석올미, 예그린제과, 사랑의 부석태, 생활개선회농산물가공사업단, 참농, 한국도라지, 케이엘씨, 밀갸또, 달롤컴퍼니, 청원식품, 황금자연, 가배도, 리하베스트, 진현, 한양전통식품, 기욤, BNF, 어담, 진성식품, 신생활식품
■ HACCP 시스템 구축
월악산오미자영농조합법인, 그루마을, 해미읍성딸기와인, 효원장, 풍전식품, 참식품, 동산만두
■ 6차산업 현장코칭
또나따목장, 참식품, 옛향기, 대연, 폴스베리, 상록수된장마을, 바다의 향기, 한도라지, 리뉴얼라이프, 서일농원, 우농타조, 파주장단통일촌콩, 해담농장, 잔다리, 증안리약초마을, 예작농원, 달기농장, 복가네된장
■ FSSC 22000 컨설팅
신생활식품, 와우에프앤비, 고려인삼연구
■ ISO 22000 컨설팅
봄내, 서울시 상수도사업본부
차시 | 강의명 |
---|---|
1차시 | HACCP이해 & 식품관련법규 |
2차시 | HACCP 인증절차 |
3차시 | HACCP 관련 사이트 |
4차시 | 선행요건 관리(1) |
5차시 | 선행요건 관리(2) |
6차시 | 선행요건 관리(3) |
7차시 | 선행요건 관리(4) |
8차시 | HACCP관리(1절차~2절차) |
9차시 | HACCP 관리(3절차~5절차) |
10차시 | HACCP 관리(6절차) |
11차시 | HACCP 관리(7절차~8절차) |
12차시 | HACCP 관리(9절차~10절차) |
13차시 | HACCP 관리(11절차~12절차) |
14차시 | 최초검증 내용 |
15차시 | 식품이물 관리 |
16차시 | HACCP 기준서(HACCP 관리) |
17차시 | HACCP기준서(선행요건관리) |
18차시 | 현장지도 개선사례 |
19차시 | 선행요건 및 HACCP 관리개선 |
20차시 | 자체평가 따라하기 |